-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3
Add Korean translation of blog 2015-03-21 #54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base: korean
Are you sure you want to change the base?
Changes from all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Jump to
Diff view
Diff view
There are no files selected for viewing
Original file line number | Diff line number | Diff line change |
---|---|---|
@@ -1,25 +1,25 @@ | ||
--- | ||
title: Hello, Bundler 1.9! | ||
title: 반가워요, 번들러 1.9! | ||
date: 2015-03-21 00:00 UTC | ||
author: Samuel Giddins | ||
author: 사무엘 기딘스(Samuel Giddins) | ||
author_url: http://segiddins.me | ||
category: release | ||
--- | ||
|
||
A mere month and a half after the release of Bundler 1.8, we're happy to announce our next act: Bundler 1.9. | ||
번들러 1.8 버전이 나온지 한달 반이 채 지나지 않은채, 번들러 1.9 버전을 발표하게 되어 기쁩니다. | ||
|
||
While the [CHANGELOG](https://github.com/bundler/bundler/blob/v1.9.0/CHANGELOG.md#190-2015-03-20) for this version might seem rather short (and light on big new features), there is one cool thing to talk about: [Molinillo](https://github.com/CocoaPods/Molinillo). Molinillo is a new dependency resolution algorithm developed for [CocoaPods](http://cocoapods.org) -- the Cocoa dependency manager. Now, Bundler shares its dependency resolver -- one of the most integral parts of a dependency manager -- with CocoaPods, with the core logic being independently documented and tested. Molinillo was developed thanks to a [generous grant from Stripe](https://stripe.com/blog/stripe-open-source-retreat) for the express purpose of being a generic dependency resolution algorithm that was sharable across different code bases -- specifically CocoaPods and Bundler (and possibly even [RubyGems](https://github.com/rubygems/rubygems/pull/1189))! | ||
이 버전의 [변경사항 CHANGELOG](https://github.com/bundler/bundler/blob/v1.9.0/CHANGELOG.md#190-2015-03-20)에 길이는 짧습니다만(중요하고 새로운 기능 추가), 그 것에 관해 전해드리겠습니다: [모리닐로 Molinillo](https://github.com/CocoaPods/Molinillo). 모리닐로(커피 콩 분쇄기, 코코아 빵는 도구, Molinillo)는 [코코아파드즈 CocoaPods](http://cocoapods.org)의 새로운 의존성 해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습니다. -- 코코아 Cocoa 의존성 관리자. 이제 번들러는 코코아 파드즈가 사용하는 의존성을 해결해주는 관리자를 공유합니다 -- 의존성 관리자라는 가장 중요한 내부 구성요소 중 하나 -- 핵심 로직은 별도로 테스트하며 문서화되어 있습니다. [스트라이프 Stripe의 아낌없은 후원](https://stripe.com/blog/stripe-open-source-retreat) 덕분에 코코아 파드즈, 번들러 (그리고 어쩌면 [RubyGems](https://github.com/rubygems/rubygems/pull/1189)) 등 코드 베이스와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의존성을 해결하는 알고리즘을 공유하려는 목적으로 모리닐로 Molinillo를 개발하였습니다!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변경사항 CHANGELOG]에 길이는 → [변경사항] 길이는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Molinillo' 가 스페인어라서 발음하는 법을 몰랐었는데 '몰리닐로' 라고 발음하는 군요.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외래어 받침은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는 외래어 표기법 규정이 있습니다. http://www.korean.go.kr/front/page/pageView.do?page_id=P000104&mn_id=97 단수와 복수형에 관계없이 '코코아팟'이라고 표기해도 문제 없을 것 같습니다. 과거엔 단수형과 복수형의 의미에 큰 차이가 없으면 단수형으로만 적도록 하는 규정이 있었던 것 같은데, 지금은 찾을 수 없네요. http://tip.daum.net/question/55717327 |
||
|
||
#### Dependencies in Bundler? | ||
#### 번들러의 의존성은? | ||
|
||
Having dependencies inside Bundler itself is a bit crazy: Bundler is a dependency manager _for_ gems, written in Ruby. How could it use gems itself? Well, it can't _really_. But we can cheat a bit by shipping Molinillo's source files inside the `bundler` gem. This has its own challenge -- what if a gem (such as CocoaPods), requires a different version of `molinillo` (or `thor`, which is likewise vendored in Bundler)? The solution is to prefix the top-level namespace constant in the vendored gem with Bundler's own namespace. The upshot of this song-and-dance is that Bundler can share open source libraries just like every other gem! | ||
번들러가 루비 젬을 _위한_ 의존성 관리자이기 때문에 번들러가 의존성을 가진다는 것이 다소 말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번들러가 젬을 어떻게 쓸 수 있을까요? _불가능_합니다. 하지만 우회하는 방법으로 모리닐로 Molinillo 소스 파일을 `bundler` 젬에 내장하여 다른 루비 젬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령 코코아파드즈 같은 젬이 `molinillo` 의 다른 버전을 요구하는 상황에 맞닥뜨리면(번들러라면 `thor` 젬이 다른 버전을 요구하는 경우) 어떻게 될까요? 번들러는 고유의 네임스페이스를 최상의 레벨에 네임스페이스 상수 이름 앞에 덧붙여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꼼수나 변명같아 보이지만 이런 방법으로 번들러가 다른 모든 젬과 같은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안될 → 안 될 '이름 앞에' 뒤의 공백이 중복되었습니다. |
||
|
||
#### Updating | ||
#### 업데이트하기 | ||
|
||
To install the last release of Bundler you can run: | ||
번들러 최신 버전을 설치하려면 아래와 같이 실행하세요: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실행하세요: → 실행하세요. |
||
|
||
``` | ||
$ [sudo] gem install bundler | ||
``` | ||
|
||
For all the details, don’t miss the Changelog! | ||
모든 세부사항은, 이력변동사항(Changelog)를 잊지마세요!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이력변동사항(Changelog)를 → 변경이력을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나온지 → 나온 지
않은채 → 않은 채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지'(시간, 동안) 와 '채'(상태) 가 의존명사라서
한글맞춤법 '띄어쓰기' http://krdic.naver.com/help.nhn?page=1-1-5-2-42#n1-1-5-2-42 를
적용한다는 의견이시죠?
헛갈리는 띄어쓰기 규정을 찾아보았습니다.
어떤 때는 붙여도 되고 어떤 때는 띄어써야 하는데 어렵군요.
현행 규정에 따르면 번역한 문장의 다른 부분인 '한달' 을 '한 달' 로 써야 할지도 고민입니다.
한글맞춤법이 처음 나왔을 때는 의존명사도 붙여서 적었다고 합니다.
"보조 용언과 의존 명사에 관한 규정은 1948년 개정판부터 띄어쓰도록 바뀌었다" 고 합니다.
각 연도별 한글 맞춤법을 찾아보고 있으나 아직 찾지 못하였습니다.
다만, 현행 규정을 관리하는 국립국어원은 1991년에 출범하였고 규정에 예외가 많이 있습니다.
의미상으로는 붙여써도 통하는 단어를 붙여쓸지 조금 고민이 되서 관련규정에 대한 이력(역사)를 좀 더 찾아보겠습니다.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지', '채'에 관한 사항은 말씀하신 부분이 맞습니다. 의존 명사인 '지'가 있고, 어미인 '-ㄴ지', '-ㄹ지'가 있는데, 기간과 관련된 의미로 '여기 온 지' 등을 쓸 때는 띄어 쓰고, '할지 말지' 등의 뜻으로 쓸 때는 붙여 쓴다고 구분해 두면 편합니다.
'한달'도 '한 달'로 띄어 써야 하겠네요. 개인적으로 단어의 띄어쓰기는 http://dic.naver.com의 국어사전에 해당 단어가 실려있는지의 여부를 많이 참고하고 있습니다. 다만 항목 중 '지식iN 오픈국어'는 참고하지 않습니다. '한달'의 경우 '지난달', '지난주', '이달', '한나절' 등의 단어가 이미 있어서 미처 눈치채지 못했네요. 일단 '한 달'은 '달'이 단위이기 때문에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