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6
Chapter 1 (Tue)_Script_2
(김지은)
2분 의 두번째 파트는
용현 님이랑 민철 님이 준비 해 주셨는데
혹시 이 두 번째도 제가 한번 빨리 골라 보고
주사위를 굴려서 그 4가 나왔기 때문에
일단은 민철님이 해 주시고
짝수기 때문에 민철님께 부탁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김민철)
이전까지 코드가 나오는데 여기서는 이제 앞서 말했던 게
딥러닝의 전반적인걸 활용했다면
여기서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구현하고
무엇을 통해 실습하는지를 다루고 있어요
딥러닝에는 케라스나 파이토치 여러 가지가 있는데
여기서 아는 것은 파이토치를 선택했다.
단순하면서도그럼에도 속도가 밀리지 않았다
하이레벨
토치를 써서 만들었지만 어떤 lib인지는 중요하지않다
어떤 딥러닝 개념이 있고 알고리즘을 파악하는거라
하나를 알면 다른거를 아는데는 어렵지 않다.
로우레벨에서는 파이토치나 파이썬을 활용한다.
몇년있으면 새로운것이 나올거다.
웹같은거도 리액트 뷰 많잖아요
머신러닝도 그럴거다
쓰면서 중간중간 필요한게 있으면 내부가 어떻게 구현햇는지 보겟다.
많은 분들이 주피터 노트북 사용
top-down으로 하니까 맨처음, 개/고양이를 구분해보자
gpu 보다 클라우드 쓰는게 낫다.
구글코랩, 데이터 여러가지 써비스 각자 편하신거 씁니다.
저희가 지금 보고 있는 첫 번째 MD 파일 있잖아요
다들 주피터 사용해보셧나요
(김지은)
안해보신분 잇나요?
부끄러워하지 마시고 괜찮습니다
없어요? 그럼 돼죠 헤헤헤헿
(김민철)
개인적으로 좋은게 각 셀에 유지되는게 좋더라고요.
코드로 처음 나오는게 개와 고양이 불러오고
resnet 34 모델 불러오는 단순하게 되어있고요
프리트레인된 모델을 불러오고 사용하는.
다다음 섹션에서 코드가 정확히 뭐하는지 설명이 잇음
별개의 내용으로 코드를 돌려보신분잇나요?
이렇게 실행해보는 것까지를 목표로 한다
하고 끝나더라구요
()
로컬에서 예 돌려받고
예 제가 지난 번에 같이 요약
권이랑 드렸던 zip파일이
제가 직접 코랩에서 돌려 봤던 파일입니다
(김민철)
보니까
저만 그런지 모르겠는데
에러가 나면서 꼬이는 경우가 있는데
깃허브쪽 코드에서 바로 가져와서 하니까 또 돌아가더라고요.
돌아가다가 에러나는 부분이 있으시면 구글드라이브에 넣어서 하지 마시고
깃헙 코랩에서 바로 하시면 에러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질문이라던지 있을까요?
(김지은)
네 감사합니다
(김용현)
코랩은 주피터 노트북의 축소판? 이라고 보시면 되고
구글이 내부적으로 만들기 위해서, 주피터와 기능은 비슷하지만 subset
먼저 저는 화면에 한글파일로 요약을 해봣는데요
제가 좀 올드 합니다.
담당한 장은 소프트웨어 장하고, 코랩 실습 두가지 부분
파이토치는 하위수준 긴으 제공하고, fast ai는 그위에 상위 기능을
중요한것은 딥러닝의 기법을 배우는것
이것이 제가 담당했던 요약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머신러닝을 돌림녀 코드가 수행되는 부분보다
gpu가 일하는 부분이 많을텐데, 그부분은 cuda driver runtime이 오래 걸리는 거니까
거의 gpu code가 돌아가는게 커서 lib 차이는 크지 않ㄹ을거라 생각하고요
다들 아시겟지만 tf 나 keras 같은거는 살아남앗지만 caffe나 cmtk 깉은 프레임웤은 다 죽은걸 봐서.
기존의 라이브러리 없어지기 떄문에
라이브러리 지식보다는, 머신러닝 기본 소양이 중요합니다.
주피터 노트북 실습은 제가 더 보충을 해보려고 적어봣습니다.
딥러닝 인프라는 크게 범주를 나누면 standalone형, on prem형, cloud 형
- standalone형
- on pramise형
- cloud형
- colab : https://colab.research.google.com/
- Backend.ai : https://cloud.backend.ai/
- Paperspace Gradient : https://console.paperspace.com/
- Github Codespace : https://github.com/features/codespaces
- Kaggle Kernels : https://www.kaggle.com/kernels
- Visual Studio Codespace(구 Azure Notebook) : https://bit.ly/3jcRrig
간략하게 책에있는 코드를 각색 해봤습니다.
아까 에러는 왜 나냐면
책 초반부는 fastbook 구버전의 코드가 올라가고, fastai2를 로딩을 하면 충돌이나서 안되는 겁니다
어떤 충돌이 있냐면, cloud drive 에 보시면, g drive가 있을거에요
연결해제를 하시고 mount를 하시면 해결을 할 수 있습니다.
런타임 초기화를 하셔도 됩니다.
안에 코드를 보면 static 하게 경로가 잡혀있어서
방법은 드라이브 끄거나, 런타임을 바꾸면
다시 드라이브로 마운트 하시면 됩니다.
맨 위는 구 코드니까 실행하지 마시면 됩니다.
fastbook을 이제 지원하지 않는거니까 하지 마시고
20% 에러율이 나와 놀랍습니다.
런타임에서 돌리면 gpu로 1분정도 걸리는것 같습니다.
코랩 단축키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uNBMGAcjLn5mxpl_Jkacy_IIWKdA4-Q8?usp=sharing
23:12:47 From 김용현 : * Ctrl + F9 : 노트의 모든 셀 실행
- Ctrl + F10 : 현재부터 끝까지 셀 실행
- Ctrl + Shift + Enter : 선택된 코드 실행
- Ctrl + M > I : 실행 중단
- Ctrl + M > Z or Ctrl + Shift + Z : 마지막 셀 작업 취소
- Shift + Enter : 셀 실행 후 다음 셀 선택
- Alt + Enter : 셀 실행 후 새 셀 삽입
- Ctrl + M > H : 단축키 보기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표준 용어는
머신러닝 표준 용어 정의 사이트 링크
https://developers.google.com/machine-learning/glossary?hl=ko
앞으로 많이 기대가 되고 활약하면서 도움을 많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