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Open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89 @@
### 1. 컴퓨터의 선사시대

#### 1) 이론적인 컴퓨터의 역사
- 튜링 머신의 정지문제
![](https://velog.velcdn.com/images/ddongpuri/post/afd847ba-59db-4067-822c-152bd2f00eeb/image.png)출처 : [김필산의 사이언스 비치](https://www.youtube.com/watch?v=o34u3Ya_00k)

주어진 튜링머신과 주어진 입력데이터를 가지고 튜링머신을 동작시킨 결과, 과연 튜링머신이 처리를 마친 후 정지할 것인지, 아니면 정지하지 않고 끝없이 동작하는 무한루프에 빠질 것인지를 알 수 있는 가 하는 문제
`결론 : (현대의 최첨단 컴퓨터에 의해서도) 알 수 없다!`

이러한 결과는, 컴퓨터로 풀리지 않는 문제 영역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 2) 기계식 컴퓨터의 역사
- 찰스 배비지의 '해석 기관(analytic engine)'

- (천공 카드를 통해) 프로그램이 가능한 최초의 기계식 컴퓨터
- 입력장치, 출력장치, 처리장치,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있음

#### 3) 전자식 컴퓨터의 초기 역사
- 전자 장치에 의해 동작하는 본격적인 의미의 컴퓨터
- 콜로서스(군사용 암호 해독), ABC 컴퓨터, Mark I, ENIAC(탄도 거리 계산) 등의 시도가 있었음
- 현재 ENIAC은 최초의 현대적 컴퓨터로 인식되고 있음

### 2. 근대적 컴퓨터의 역사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 을 토대로 하여 컴퓨터 세대를 4가지로 살펴보자
1 세대 : 진공관 기반
2 세대 : 트랜지스터 기반
3 세대 : 집적회로(Integration Circuit) 기반
4 세대 : 고밀도/초고밀도(LSI/VLSI) 집적회로

- 1세대 : 진공관 기반
![](https://blog.kakaocdn.net/dn/B9Wsf/btqYpXrLmF7/Tbx7azjTFuxkRB2BFxq1x1/img.jpg)\- 진공관은 전구 크기의 유리관으로 구성되며, 스위칭 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싸 기상청, 은행, 정부 기관들만이 컴퓨터를 갖출 능력이 있었다.
\- 짧은 수명으로 인한 신뢰성 문제

- 2 세대 : 트랜지스터 기반
- `트랜지스터의 등장`
벨 연구소에서, 소규모 반도체 격자 구조 사이에 가는 도체선을 접촉시켜줄 경우 전기 신호의 증폭 작용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고, 이를 트랜지스터 라 명명했다. (진공관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만, 진공관에 비해 규모는 매우 작음)
- `소프트웨어의 발전`
컴퓨터에서 프로그래밍 작업이 이전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 `프로그래밍 언어의 필요성 대두`
어셈블리 언어, 포트란(고급언어) 등장 -> 이후, 기호 정보 처리를 위한 리습(Lisp)과 사무적 정보 처리를 위한 코볼(Cobol)도 등장
- `운영체제 개발의 시작`
컴퓨터의 기계적인 복잡성 증가로 컴퓨터 자체를 관리하는 것이 힘들어지면서, 이를 자동적으로 처리해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 3 세대 : 집적회로(Integration Circuit) 기반
- `집적회로의 등장`
집적회로는 수백에서 수천 개에 이르는 트랜지스터를 단 한 개의 작은 실리콘 칩에 통합회로로 묶는 기술로, '신뢰성 향상'과 '크기 감소'와 같은 장점을 지님

- 4 세대 : 고밀도/초고밀도(LSI/VLSI) 집적회로
- `초고밀도 집적회로 기술로 제작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등장`
수십만 개의 반도체 소자를 작은 실리콘 칩에 내장하게 되었고, 이는 컴퓨터의 외형, 능력, 활용성면에서 급진적인 변화를 야기했다.
- `개인용 컴퓨터 사용의 보편화`
개인용 컴퓨터는 폭넓은 수요를 가지고 있어서 낮은 단가로도 충분한 수익성을 보장받을 수 있었고, 그 결과 개인용 컴퓨터의 가격은 점점 낮아지고 대중화될 수 있었다.

-----
- 1980s
: 객체지향 언어의 성공으로 신뢰성과 재사용성이 높은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가능해짐. 통신기술의 발전과 연계되어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C-S)의 처리방식이 성공을 이룸

- 1990s
: 인텔 펜티엄 프로세서, 윈도우 95 및 98, 윈도우 NT 운영체제,WWW(World Wide Web) 기술, 자바(java)의 출현

----

### 3. 현대의 컴퓨터

> 1. 슈퍼컴퓨터와 메인프레임 컴퓨터
2. 개인용 컴퓨터
3. 휴대용 컴퓨터
4. 임베디드 컴퓨터(내장형 컴퓨터)

- 슈퍼컴퓨터와 메인프레임 컴퓨터
-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등장하기 이전의 시대에는 대부분의 컴퓨터가 방하나 크기만한 메인프레임 컴퓨터였고, 오늘날에도 은행이나 항공사 같이 '대량의 데이터 처리'와 '신뢰성 있는 전산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 여전히 메인프레임 컴퓨터를 여전히 사용한다.
- 터미널(입출력 기능을 하는 키보드와 모니터를 통합한 장치)을 통해 접속
- 시분할 방식(time sharing)을 사용

> 시분할 방식이란?
>
> 컴퓨터 처리 능력을 짧은 시간 단위로 구분하고, 이를 여러 사용자에게 조금씩 분할해 서비스하는 방식
> 이 때, 각 사용자는 마치 자기 혼자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갖게된다.


`기상 예측, 통신망 설계, 석유 탐사 등 메인프레임 컴퓨터로도 처리 능력이 부족한 응용분야의 경우 슈퍼컴퓨터(고성능 컴퓨터)를 사용한다.`
>최근에는 고성능 컴퓨터를 원격으로 사용하고 사용료를 지불하는 새로운 형태의 컴퓨팅 방식인 **[클라우드 컴퓨팅](https://aws.amazon.com/ko/what-is-cloud-computing/?nc1=f_cc)** 이 각광받고 있다. <br>


- 임베디드 컴퓨터(내장형 컴퓨터)
-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제작되어, 특정 기기 내부에 장착되는 형태의 컴퓨터
- 임베디드 컴퓨터는 자동차, 냉장고, 텔레비전, 로봇 제어 등에 폭넓게 사용됨
- 프로그램이 칩 내부에 구워져 있다. (**용도의 특수성**) 따라서, 임베디드 컴퓨터에서는 범용 컴퓨터와 같은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탑재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