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할정복 방식과 파이썬다운 방식의 경우 입력을 nums = [1, 1, 1, 1, 2, 2, 2, 2, 3, 3, 3, 3] 같이 하면 과반수도 없고 특정 엘레먼트가 많은것도 아니기 때문에 None 을 출력해야 되는데(브루트 포스 방식과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은 None을 출력합니다.) 각각 3과 2를 출력합니다. 리트코드에서 살펴보니 문제에 'majority element'의 정의가 나와 있고 'majority element'는 항상 배열에 존재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는데 책에는 그 가정이 빠져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