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e23fd3b

Browse files
committed
[Gold V] Title: 숫자고르기, Time: 92 ms, Memory: 9376 KB -BaekjoonHub
1 parent e5a7da4 commit e23fd3b

File tree

2 files changed

+90
-0
lines changed

2 files changed

+90
-0
lines changed
Lines changed: 32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32 @@
1+
# [Gold V] 숫자고르기 - 2668
2+
3+
[문제 링크](https://www.acmicpc.net/problem/2668)
4+
5+
### 성능 요약
6+
7+
메모리: 9376 KB, 시간: 92 ms
8+
9+
### 분류
10+
11+
깊이 우선 탐색, 그래프 이론, 그래프 탐색
12+
13+
### 제출 일자
14+
15+
2025년 3월 7일 11:45:12
16+
17+
### 문제 설명
18+
19+
<p>세로 두 줄, 가로로 N개의 칸으로 이루어진 표가 있다. 첫째 줄의 각 칸에는 정수 1, 2, …, N이 차례대로 들어 있고 둘째 줄의 각 칸에는 1이상 N이하인 정수가 들어 있다. 첫째 줄에서 숫자를 적절히 뽑으면, 그 뽑힌 정수들이 이루는 집합과, 뽑힌 정수들의 바로 밑의 둘째 줄에 들어있는 정수들이 이루는 집합이 일치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정수들을 뽑되, 최대로 많이 뽑는 방법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N=7인 경우 아래와 같이 표가 주어졌다고 하자.</p>
20+
21+
<p><img alt="" src="https://www.acmicpc.net/upload/images/u5JZnfExdtFXjmR.png" style="width: 262px; height: 61px; "></p>
22+
23+
<p>이 경우에는 첫째 줄에서 1, 3, 5를 뽑는 것이 답이다. 첫째 줄의 1, 3, 5밑에는 각각 3, 1, 5가 있으며 두 집합은 일치한다. 이때 집합의 크기는 3이다. 만약 첫째 줄에서 1과 3을 뽑으면, 이들 바로 밑에는 정수 3과 1이 있으므로 두 집합이 일치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뽑힌 정수의 개수는 최대가 아니므로 답이 될 수 없다.</p>
24+
25+
### 입력
26+
27+
<p>첫째 줄에는 N(1≤N≤100)을 나타내는 정수 하나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는 표의 둘째 줄에 들어가는 정수들이 순서대로 한 줄에 하나씩 입력된다.</p>
28+
29+
### 출력
30+
31+
<p>첫째 줄에 뽑힌 정수들의 개수를 출력하고, 그 다음 줄부터는 뽑힌 정수들을 작은 수부터 큰 수의 순서로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p>
32+
Lines changed: 58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58 @@
1+
let fs = require('fs');
2+
le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3+
4+
let N = Number(input[0]);
5+
let arr = [null];
6+
7+
for (let i = 1; i <= N; i++) {
8+
arr.push(Number(input[i]));
9+
}
10+
11+
let visitedArr = new Array(N + 1).fill(false);
12+
let finishedArr = new Array(N + 1).fill(false);
13+
let cycleArr = [];
14+
let result = [];
15+
16+
const dfs = (idx, startIdx, success) => {
17+
if (success.value) return;
18+
cycleArr.push(idx);
19+
visitedArr[idx] = true;
20+
21+
let next = arr[idx];
22+
23+
if (visitedArr[next]) {
24+
if (next === startIdx) {
25+
if (!finishedArr[next]) {
26+
result.push(...cycleArr);
27+
for (let k of cycleArr) {
28+
finishedArr[k] = true;
29+
}
30+
success.value = true;
31+
}
32+
}
33+
} else {
34+
dfs(next, startIdx, success);
35+
}
36+
37+
visitedArr[idx] = false;
38+
};
39+
40+
for (let i = 1; i <= N; i++) {
41+
if (!finishedArr[i]) {
42+
cycleArr = [];
43+
let success = { value: false };
44+
dfs(i, i, success);
45+
}
46+
}
47+
48+
result.sort((a, b) => a - b);
49+
console.log(result.length);
50+
console.log(result.join('\n'));
51+
52+
// 개수가 최대일 경우의 수, output = 뽑힌 정수들의 개수, 작은수부터 큰수 순서로
53+
// 단순히 생각하면 뽑힌 인덱스와 그 값의 배열이 일치하면 되는데 => 텀 프로젝트 문제에서 이렇게 했다가 메모리 초과 났음(즉, 효율적인 방식이 아님)
54+
55+
// target 인덱스로 사이클을 형성한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음
56+
// 자기 자신을 가르키는 경우 또한 포함됨
57+
58+
// success 플래그 => 원시 값이 함수 인자로 전달되면 dfs내에서 변경해도 재귀 호출이 끝나면 false로 초기화됨

0 commit comments

Comments
 (0)